매년 많은 젊은 남자분들이 군 복무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여자라 군대를 가지는 않았지만 남편이나 친동생이 군대에서 고생하고 힘들게 다녀온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항상 군인 분들에게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군인에 대한 복지가 옛날과 비교한다면 많이 개선되었는데요. 올해 개선된 군 장병 복지 증진 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2022년 군 장병 복지증진 계획
1. 군인 월급 인상
우리나라는 징병제 국가기 때문에 보통의 건강한 남성들이라면 현역,보충역 등으로 병역의 의무를 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군대를 자발적으로 원해서 가고 싶은 사람은 정말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에 따라 나라에서도 꾸준히 사회적 지원 및 군인 관련 보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군인 월급 2배 인상안을 추진해왔고 2017년 병장 기준 월급이 처음으로 20만원을 넘었습니다. 이 또한 적다는 의견도 계속해서 나오고 있고요.
2018년부터 올해인 2022년까지 2017년 기준 최저임금의 50% 수준을 목표로 인상을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2018년 30% 수준, 2019년 동결, 2020년 40% 수준, 2021년 45% 수준까지 인상된 바 있습니다. 올해 2022년은 50% 수준까지 인상됩니다. ( 기준금액은 2017년 최저임금 )
❗️ 2022년 장병 봉급
- 이병: 510,100원
- 일병: 552,100원
- 상병: 610,200원
- 병장: 676,100원
국방부에서는 내년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올해 기준 14.4%까지 인상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 국군장병 목돈 마련 지원제도
사실 군인이 사회생활에도 불리한 점은 20대 초반 학업이나 사회생활을 미루고 입대를 하는 점도 있는데요. 그런 군인들을 위해 목돈마련 지원을 위해 은행연합회와 협력하여 고금리 적금상품인 장병 내일 준비 적금을 출시하였습니다.
장병 내일 준비 적금은 1% p의 이자 지원금, 3:1 매칭 지원금을 통하여 전역 시 일정 수준 이상의 목돈을 마련하도록 합니다. 금리는 5% 수준이며 가입기간은 최소 6개월 ~ 24개월입니다.
3. 군 복무 중 자기 계발 지원 제도
복무기간 중에 학점 취득이나 자격증 취득, 어학 공부, 취업준비 등을 통해 제대 후 취업이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 사업입니다.
- 대학 원격강좌 학점인정제
현재 173여 개의 대학이 참여하고 있고 앞으로 더 확대될 예정입니다. 수강료 지원(50%)과 수강 여건 개선 등으로 참여인원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 군 복무 경험 학점인정제
2021년 기준 63여 개의 대학교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 전문, 학사 학위 취득
군 특성화고 졸업자 대상으로 복무 중 학력 신장을 목표로 합니다. 2021년 기준 인하공대 등 5개 대학교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 고졸학력 인정 자격 취득 지원
고졸 미만 학력 입대자 대상으로 군 복무 중에 검정고시로 고졸 학력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 자기 계발 비용 지원
학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본인이 원하는 분야의 자기 계발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어학 공부, 자격시험 응시료, 학습 교재비 등에 지출한 비용을 연간 최대 1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고용노동부 지원으로 현역 장병 대상으로 하며 매년 83개 종목에 대해 군내에서 검정 시행합니다.
4. 민간 병원 진료비 지원 제도
현역병, 상근예비역, 간부후보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작년인 2021년 8월 1일부터 군인의 민간병원 이용 시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인 30% 중 일부를 추가 지원합니다. 매월 정기 급여일에 진료비를 환급받게 됩니다. (자세한 관련 내용)
매년 나라에서도 국군 장병들을 위한 제도들을 개선하고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더불어 우리 군인들의 식사나 생활환경 등도 더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에 물렸을 때 대처 방법 (0) | 2022.05.27 |
---|---|
초등학교 돌봄교실 학교돌봄터 정보 (0) | 2022.04.06 |
주한 독일문화원 독일어 강의, 시험일정 확인 (0) | 2022.03.18 |
불법주정차 단속 알림 앱 휘슬 (0) | 2022.03.17 |
싸이월드 오픈 4월 2일 확정 (0)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