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자동차세 연납 신청 기간, 방법 쉬운 정리

by health_life 2022. 1. 25.
반응형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분이라면 이 시기에 내야 할 세금이 있죠. 자동차 또한 내가 가진 보유자산으로 보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자동차세를 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1년에 2번 내는 자동차세 납부 방법과 1년에 1번만 납부하는 방식의 연납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자동차세 정기 납부 기간

 

 

기본적으로 자동차세는 1년을 1 기분, 2 기분으로 나누어 1년에 두 번 납부하게 됩니다.

 

▶ 1 기분

납부기한 : 6월 16일 ~ 6월 30일

결산기간 : 1월 ~ 6월까지의 세금

 

▶ 2 기분

납부기한 : 12월 16일 ~ 12월 31일

결산기간 : 7월 ~ 12월까지의 세금

 

 

💡 자동차세 연납

나라에서도 국가재정문제를 위해 세금이 좀 더 빠르게 걷히면 좋을 텐데요. 이 때문에 자동차세 연납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1월 ~ 12월의 자동차세를 미리 계산하여 1월에 한번 납부하는 건데요.

 

 

자동차세 연납 시 다른 사람들보다 세금을 빨리 내므로 나라에서도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연납하는 월에 따라 2% ~ 9% 까지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 연납 기간에 따른 세액공제 혜택

  • 1월 16일 ~ 1월 31일 : 약 9.15%
  • 3월 16일 ~ 3월 31일 : 약 7.5%
  • 6월 16일 ~ 6월 30일 : 약 5%
  • 9월 16일 ~ 9월 30일 : 약 2.5%

 

보시는 것처럼 최대한 연 초에 세금을 낼수록 세액공제율이 큽니다. 그리고 9월 16일 ~ 30일 이 기간에 납부하시는 분은 이미 1 기분의 혜택이 사라졌으므로 2 기분에 대한 기간만 해당이 됩니다. (약 2.5%)

 

 

▶ 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

 

1) 서울시 제외한 지역 차량

  • 서울시를 제외한 전 지역 차량은 PC로 위택스 홈페이지, 스마트 위택스라는 어플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 공동 인증서 또는 네이버 인증, 카카오 인증, 페이코 인증 등으로 본인인증이 가능합니다.

 

2) 서울시 등록 차량

  • 서울시에 등록된 차량은 PC로 서울시 이택스 (ETAX)에서 하시면 됩니다. 어플은 서울시 STAX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 서울시 등록 차량은 이미 1월 5일부터 납부가 가능했으며 이번에는 명절이 껴 있어서 2월 3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신한, KB, 하나, 현대, 수협, 삼성, 우리, BC, 농협 카드의 무이자 할부도 가능합니다. (변동될 수 있습니다)

 

어차피 내야 하는 자동차세라면 9% 혜택을 받고 연납하는 것이 훨씬 큰 이득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공제 혜택이 적어지므로 1월에 내는 것이 좋겠지요. 납부해야 할 금액이 많이 크지 않는 이상은 연납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